본문 바로가기
기업에 대한 생각

알파벳(구글) VS 메타(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면?

by 아비투스 2022. 9. 30.
반응형

구글의 알파벳과 SNS 대장 메타,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된다면 어떤 기업을 선택해야 될까. 두 기업을 비교 분석하고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Summary
1) 시장의 지속적인 하락으로 알파벳과 메타는 현재 매력적인 가격이다. 알파벳의 P/E비율은 19, 메타는 14다. 
2) 알파벳이 메타보다는 브랜드 가치와, 현금, 신용 등급이 좋지만 메타가 EBIT 마진이 높고 잉여 현금 흐름 수익률이 더 좋다.
3) 여러 관점에서 두 회사중 하나만 골라야 한다면 알파벳이 될 것이다. 그 이유를 살펴보자

 

출처 : 아이뉴스

비교해봅시다.

  Brand finance에 따르면 알파벳의 브랜드 가치는 $263M 이고, 메타는 $101M 이다.  무디스 신용등급은 A1, Aa2 이다. 모두가 알고있듯이 메타는 알파벳보다 광고에 좀 더 의존적이다. 위험과 보상 측면에선 알파벳이 좀 더 매력적이다. 


  알파벳과 메타 모두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이런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하고 미디어 및 서비스 산업에서 그 누구보다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전 세계인의 대부분이 알고 있고, 세계에서 가치있는 브랜드 상위 10위 안에 들기도 한다. 
 알파벳과 메타는 모두 성공적인 M&A를 한 회사라는 공통점이 있다. 알파벳은 2006년에 유튜브를 16억 5천만 달러에, 메타는 12년에 인스타그램을 10억 달러, WhatsApp을 14년에 190억 달러레 인수했다. 
  두 회사 모두 현금 포지션은 알파벳이 $124,997M, 메타가 $40,489M 이다. 풍부한 현금 동원력은 향후 두 회사가 공격적인 인수 전략을 펼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구분 알파벳 메타
PER 19 14
시가총액 $1.30T $377B
EBIT 마진 29% 33%
ROE 29% 25%
3년 EBIT성장률(CAGR) 34% 23%
향후 5년 매출/EBIT 성장률 8% / 8% 5% / 5%



 

두 기업 모두 광고 의존적이라는 위험 요소가 있다.

  알파벳과 메타 두 기업은 광고에 의존하는 회사다. 알파벳도 광고 회사냐고 의아할 수 있겠지만 알파벳의 수익중 80%가 광고 사업부에서 발생한다. 하지만 알파벳은 클라우드나 다양한 사업으로의 수익 다각화를 하고있다. 메타는 수익의 98%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광고에서 발생한다. 아이폰 정책 변경이나 마케팅에 대한 고객 지출 감소가 알파벳보다는 메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사업의 안정성 측면에서는 알파벳이 조금 더 양호하다. 
  또다른 리스크로는, 메타가 페이스북에서 사명을 바꾸고 메타버스를 새로운 먹거리로 지목한 이후 오큘러스 개발 등 다양한 인프라 투자, M&A등을 추진하며 더 많인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21년에만 메타는 Reality Labs 를 통해 100억 달러를 사용하였다. 물론 기업의 투자 활동은 미래 확장을 위해선 필요한 과정이지만 아직은 이 대규모 프로젝트가 어떻게 흘러갈 지 아무도 모르기때문애 리스크로 남아있다. 
  또한 데이터 프라이버시가 강화되는 요즘, 애플에 이어 안드로이드도 추적을 차단하는 개인정보 보호를 발표했다. 이로인해 메타의 수익이 많이 감소하였다. 

 

결론

  알파벳과 메타 두 기업 모두 탁월한 기업이고 현재 매력적인 가격이기도하다. 하지만 제한된 리소스로 성과를 내야하는 경우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이런 경우엔 알파벳이 더 좋은 선택지가 될 것이다. 알파벳의 ROE는 29%로 메타보다 약 4% 높아 자기자본 조달을 이익으로 전환함에 좀 더 효율적이다. 알파벳의 지난 3년간 평균 EBIT 성장률은 34%로 메타의 22%보다 높다. 
  또한 위험 관리 측면에서도 메타가 광고에 의존도가 매우 높고, 신규사업을 위해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반면에 알파벳은 광고 사업에 덜 의존적이고 클라우드나 AI같은 비즈니스의 확장을 통해 탈 광고를 진행중이다. 
 이런 연유로 알파벳을 선택하는 결정이, 위험과 보상측면에선 메타보다 조금 더 탁월할 수 있다. 

※ 매수 매도 추천글은 아닙니다. (놀랍게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