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에 대한 생각16 Chat GPT에 대한 생각 Chat GPT가 난리다. 인터넷 커뮤니티나 뉴스에 Chat GPT가 로스쿨 시험을 통과하였다느니 MBA에서 B+ 학점을 받고 멋진 시까지 썼다며 구글의 몰락을 이야기한다. AI, 테크와 크게 관련이 없는 필자의 회사에서도 Chat GPT에 대한 내부 스터디를 진행해야하지 않겠냐는 이야기도 나오는걸 보면 이슈이긴 한가보다. 유튜브 컨텐츠와 블로그 글과 제목까지 기가막히게 뽑아내는 Chat GPT를 보며 인류의 혁신이고 많은 빅테크들에 대한 위렵이라는 의견들이 자주 보인다. . 적게나마 Chat GPT를 사용해본 개인적인 견해로는, '글쎄?' 다. 뱉어내는 결과들을 보면 기가막히게 매끄러운 문장의 결과물이긴 하지만 인싸이트나 창의적인 부분은 볼 수 없었다. (테슬라 주식이 얼마까지 오를까요? 질문해봄.. .. 2023. 2. 8. 런닝과 투자, 레깅스와 운동화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33783 영하 추위에도 뛴다… 소맥보다 달콤하다는 ‘퇴근런’ 아십니까 광화문에서 동대문까지 ‘러닝크루’와 달려보니 월요일 저녁이 되면 변리사 김호준(35)씨는 ‘수퍼맨’이 된다. 순식간에 양복에서 쫄쫄이 슈트로 갈아입는 수퍼맨 클라크 켄트처럼, 퇴근과 n.news.naver.com 한강 근처에서 살고있는 덕에 저녁이면 종종 한강으로 나가서 가벼운 산책을 하곤한다. 원래 몇 년전까지만 해도 한강의 풍경은 아저씨들이나 난닝구 바람으로 달리던가 라디오를 매단 철티비 아저씨들만 자전거를 타는 풍경이었다. 하지만 어느새부터인가, 값비싼 자전거와 쫄쫄이를 입은, 뚜르 드 프랑스에서 볼 것만 같은 동호인들이 늘어나더니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도.. 2022. 12. 18. 미국 10대 청소년 설문조사에서 보는 투자 힌트 https://www.pipersandler.com/2col.aspx?id=287&releaseid=20526&title=Piper+Sandler+Completes+44th+Semi-Annual+Generation+Z+Survey+of+14%2c500+U.S.+Teens News Release Content Press Room News Releases Over 22 years of research on U.S. teens and GenZ insights Teen “self-reported” spending was up 3% Y/Y to $2,331 and down 2% vs. last spring; parent contribution was 61% vs 60% last spring For upper in.. 2022. 10. 19. 조선에 대한 생각, 조선주 분석 및 전망 사실 조선주 떡밥은 작년부터 계속 있었지만, 최근 유튜브에서 유독 조선주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나오는것 같다. (어떤 이유에서건 알고리즘이 추천해 주는것일수도 있고, 그만큼 많이 보는것 같다.) 조선산업은 대표적이 씨클리컬한 산업이다. 개인적으로는 씨클리컬한 기업을 좋아하진 않아서, 조선주에 대해서 깊이 공부해 본적은 없지만 간단히 드는 생각으로는.. 논리적으로 호황은 맞다. 일단 대표적으로 전 세계 선박들 중 많은 비중의 선박이 곧 한계 연령이 도래한다는 것이다. 대략 20년~25년 정도 운영된 선박은 각종 정책과 여러 이유로 더 이상 운영하지 못하는데, 그 시기가 도래했다는 것이다. 조선은 대표적으로 근면성실한 국가인 독일, 일본 등이 과거엔 점유하고 있다가 한국으로 넘어왔다. 하지만 중국이 값싼 금.. 2022. 10. 8. 아는 것과 현명함에 대해서 (ft. 하워드 막스) 출처 : 유튜브 '메이킹알파' 월가의 대표적인 GURU '하워드 막스' 아는 것과 현명함에 대해 말한 재밌는 영상이 있어 가져왔다.주요 요지는 이렇다. 요즘은 정보의 접근이 매우 쉽다. 피씨, 인터넷, 모바일, 데이터 베이스 등이 없다고 상상해보자. 그 당시엔 기업의 실적을 보기위해선 지류 서한으로 회신을 받아야했다. 이런 경우엔 정보의 비대칭성이 발생하기 쉬워 비교적 경쟁자가 적었다. 다시엔 버핏같은 사람들은 1달러짜리 주식을 50센트에 줍줍 할수 있었다. 쉽게 말해, 금융에 대해 무지한 사람들이 많은 '블루오션'이었다. 하지만 요즘엔, 언제 어디서나 실적을 포함한 기업 정보, 분석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고 PER PBR ROE 등의 정량적인 방식들도 편리하게 누구나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사람들의.. 2022. 10. 3. 브랜드의 철학과 매력에 대해서 BTS보다 노래를 잘 하는 가수는 수 없이 많다. 처칠, 링컨보다 잘났고 똑똑한 정치인도 많았다. 잘 생기기만 해서는 배우가 될 수 없다. 이쁘고 춤을 잘 춘다고 아이돌이 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능력이 있어도 대통령이 될 순 없다. 왜일까?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은 따로 있기 때문이다. 매력이 있어야 한다. 그럼 매력은 어디서 나올까? 나만의 이야기를 내 목소리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나만의 철학과 고뇌로 걸어온 길이 있어야 한다. 투자자의 관점에서 기업도 마찬가지다. 첫 길을 개척하고 시장을 연 기업이 더 매력적으로 느껴질 수 밖에 없다. 많은 투자자들이 PER과 같은 숫자들로 기업을 재단하며 '벨류에이션이 적당한 기업' 이라고 정의를 내리는 기업들이 있다. 그 기업들의 상품은 대부분 이런식이.. 2022. 9. 30. 이전 1 2 3 다음